중요한 프로그래밍 능력 중의 하나가 바로 값(data)을 잘 다루는 것이다. 값을 저장하는 공간인 변수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그 능력을 얻기 위한 첫 걸음이니 첫 단추를 잘 끼워보자.
1.1 변수(variable)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변수(variable)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공간에 저장된 값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변수' 라는 수학용어의 정의와 상통하는 면이 있어서 이렇게 이름 붙혀졌다.
"변수란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1.2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하는데, 변수의 선언 방법은 다음과 같다.
int age; //age 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
int = 변수타입
age = 변수이름
'변수타입' 은 변수에 저장될 값이 어떤 '타입(type)' 인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저장하고자 하는 값의 종류에 맞게 변수의 타입을 선택해서 적어주면 된다.
'변수이름' 은 말그대로 변수에 붙인 이름이다.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이다.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의 빈 공간에 '변수타입'에 알맞은 크기의 저장공간이 확보되고, 앞으로 이 저장공간은 '변수이름'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변수의 초기화
변수를 선언한 이후부터는 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그전에 반드시 변수를 초기화(initialization) 해야 한다.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자원이므로 전에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쓰레기값, garbage value) 값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변수의 초기화란,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int year = 0;
int age = 14;
int year : 변수선언
= 0 초기화
1.3 변수의 명명규칙
'변수의 이름'처럼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모든 이름을 '식별자(identifier)'라고 하며 식별자는 같은 영역 내에서 서로 구분(식별)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식별자를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
-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 True와 true는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된다.
- 예약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 된다.
- 특수문자는 '_'와 '$'만을 허용한다.
그외 프로그래머들에게 권장하는 규칙
- 클래스 이름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로 한다.
-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한다.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_"로 구분한다.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변환 (0) | 2022.06.01 |
---|---|
변수의 타입 (0) | 2022.05.08 |
자바의 특징 (0) | 2022.05.08 |
JAVA public, private, protected 접근자의 차이점 (0) | 2021.08.12 |
JVM 구조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