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타입

growdeveloper ㅣ 2022. 5. 8. 17:30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값(data)의 종류(type)은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눌 수 있으며, 숫자는 다시 '정수와 실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값(data)의 종류(type)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형식을 정의한 것이 자료형(data typq)이다. 

 

★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 변수 : 실제 값(data)을 저장

참조형 변수 :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memory address)를 값으로 갖는다.

 

기본형(primitive type)

- 논리형(boolean),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r, int, long), 실수형(float, double)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한다.

참조형(reference type)

-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8개의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 

 

참조형 변수(또는 참조변수)를 선언할 때는 변수의 타입으로 클래스의 이름을 사용하므로 클래스의 이름이 참조변수의 타입이 된다. 그래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한다는 것은 새로운 참조형을 추가하는 셈이다.


2.1 기본형(primitive type)

분류 타입
논리형 boolean
true와 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갖으며,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된다.
문자형 char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에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정수형 byte, shor, int, long
정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주로 int가 사용된다, bytesms 이진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되며, short는 C언어와의 호환을 위해서 추가 되었다.
실수형 float, double
실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주로 double이 사용된다.

int 는 CPU가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타입이기 때문이다. 효율적인 실행보다 메모리를 절약하려면, Byte나 shor을 선택하자.

  • boolean은 true와 flase 두 가지 값만 표현할 수 있으면 되므로 가장 작은 크기인 1byte.
  • char은 자바에서 유니코드(2 byte 문자체계)를 사용마으로 2byte
  • byte는 크기가 1byte라서 byte.
  • int(4 byte)를 기준으로 짧아서 shor(2 byte), 길어서 long(8byte), (shor <> long)
  • foloat는 실수 값을 부동 소수점(floating-point)방식으로 저장하기 떄문에 float.
  • double은 float보다 두 배의 크기(8 byte)를 갖기 때문에 double.

2.2 상수와 리터럴(constant & literal)

상수(constant)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와 동일하며, 단지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final을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final int MAX_SPEED = 10; 상수 MAX_SPEED를 선언 & 초기화

상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하며, 그 후 부터는 상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문자 리터럴과 문자열 리터럴

'A'와 같이 작은따옴표로 문자 하나를 감싼 것을 '문자 리터럴'이라고 한다. 두문자 이상은 큰 따옴표로 감싸야 하며'문자열 리터널 이라고 한다.' 

char ch = 'J'; // char ch = 'Java'; 이렇게 할수 없다.
String name = "JAVA"; //변수 name에 문자열 리터럴 "JAVA"를 저장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JVM의 메모리구조  (0) 2022.06.01
형변환  (0) 2022.06.01
변수(variable)  (0) 2022.05.08
자바의 특징  (0) 2022.05.08
JAVA public, private, protected 접근자의 차이점  (0) 2021.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