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본 개념

growdeveloper ㅣ 2025. 1. 31. 18:31

네트워크 기본 개념은 컴퓨터와 장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연결된 시스템을 말하며, 이를 통해 정보가 여러 장치 간에 전달됩니다.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와 개념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네트워크란?

네트워크(Network)는 서로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입니다. 네트워크는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컴퓨터, 서버, 라우터, 스위치, 스마트폰 등 다양한 장치를 연결합니다.

  • 목적: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여러 장치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구성 요소:
    • 호스트(Host):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컴퓨터, 서버 등).
    •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경로(케이블, 무선 등).
    • 네트워크 장비(Network Devices): 데이터를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장비(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

2. 네트워크의 종류

네트워크는 그 크기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1. LAN (Local Area Network):

  • 설명: 작은 지역(예: 가정, 사무실, 학교 등) 내에서 장치들이 연결된 네트워크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합니다.
  • 특징: 제한된 지역에서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합니다.
  • 예시: 사무실 내 컴퓨터들, 홈 네트워크.

2. WAN (Wide Area Network):

  • 설명: LAN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로, 서로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인터넷이 대표적인 WAN입니다.
  • 특징: 넓은 지역을 커버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 예시: 기업의 지사들, 국가 간의 네트워크 연결.

3.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설명: 하나의 도시나 특정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입니다. LAN과 WAN의 중간 범위입니다.
  • 특징: 도시 규모에서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WAN보다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높습니다.
  • 예시: 도시 내 공공 와이파이 네트워크, 대학 캠퍼스 네트워크.

4. PAN (Personal Area Network):

  • 설명: 개인의 장치들이 연결되는 작은 네트워크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사람의 기기들(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연결합니다.
  • 특징: 범위가 매우 짧고, 블루투스나 Wi-Fi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합니다.
  • 예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헤드셋, 개인 컴퓨터와 프린터 간의 연결.

3.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들이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는지 설명하는 모델이 바로 네트워크 모델입니다. 대표적인 모델은 OSI 모델TCP/IP 모델이 있습니다.

1. OSI 모델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

  • OSI 모델은 네트워크의 통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각 계층은 특정 기능을 담당합니다.

계층이름역할

7 응용 계층 (Application)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담당 (예: 웹 브라우저)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데이터의 형식 변환, 압축, 암호화 등을 담당
5 세션 계층 (Session) 두 장치 간의 세션을 관리, 연결의 시작과 종료를 담당
4 전송 계층 (Transport)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제공, 오류 검출 및 복구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라우팅, IP 주소 지정 등을 담당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물리적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
1 물리 계층 (Physical) 실제 전송 매체를 통해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

TCP/IP 모델

  • TCP/IP 모델은 OSI 모델보다 간단한 4계층 모델입니다.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TCP와 IP를 기반으로 합니다.

계층이름역할

4 응용 계층 (Application)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3 전송 계층 (Transport)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담당 (예: TCP, UDP)
2 인터넷 계층 (Internet) 데이터의 라우팅 및 주소 지정 (예: IP, ICMP)
1 링크 계층 (Link) 실제 네트워크 전송 (예: Ethernet, Wi-Fi)

 

네트워크 기본 개념은 컴퓨터와 장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연결된 시스템을 말하며, 이를 통해 정보가 여러 장치 간에 전달됩니다.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와 개념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네트워크란?

네트워크(Network)는 서로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입니다. 네트워크는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컴퓨터, 서버, 라우터, 스위치, 스마트폰 등 다양한 장치를 연결합니다.

  • 목적: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여러 장치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구성 요소:
    • 호스트(Host):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컴퓨터, 서버 등).
    •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경로(케이블, 무선 등).
    • 네트워크 장비(Network Devices): 데이터를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장비(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

2. 네트워크의 종류

네트워크는 그 크기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1. LAN (Local Area Network):

  • 설명: 작은 지역(예: 가정, 사무실, 학교 등) 내에서 장치들이 연결된 네트워크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합니다.
  • 특징: 제한된 지역에서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합니다.
  • 예시: 사무실 내 컴퓨터들, 홈 네트워크.

2. WAN (Wide Area Network):

  • 설명: LAN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로, 서로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인터넷이 대표적인 WAN입니다.
  • 특징: 넓은 지역을 커버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 예시: 기업의 지사들, 국가 간의 네트워크 연결.

3.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설명: 하나의 도시나 특정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입니다. LAN과 WAN의 중간 범위입니다.
  • 특징: 도시 규모에서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WAN보다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높습니다.
  • 예시: 도시 내 공공 와이파이 네트워크, 대학 캠퍼스 네트워크.

4. PAN (Personal Area Network):

  • 설명: 개인의 장치들이 연결되는 작은 네트워크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사람의 기기들(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연결합니다.
  • 특징: 범위가 매우 짧고, 블루투스나 Wi-Fi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합니다.
  • 예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헤드셋, 개인 컴퓨터와 프린터 간의 연결.

3.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들이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는지 설명하는 모델이 바로 네트워크 모델입니다. 대표적인 모델은 OSI 모델TCP/IP 모델이 있습니다.

1. OSI 모델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

  • OSI 모델은 네트워크의 통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각 계층은 특정 기능을 담당합니다.
계층이름역할
7 응용 계층 (Application)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담당 (예: 웹 브라우저)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데이터의 형식 변환, 압축, 암호화 등을 담당
5 세션 계층 (Session) 두 장치 간의 세션을 관리, 연결의 시작과 종료를 담당
4 전송 계층 (Transport)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제공, 오류 검출 및 복구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라우팅, IP 주소 지정 등을 담당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물리적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
1 물리 계층 (Physical) 실제 전송 매체를 통해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

2. TCP/IP 모델

  • TCP/IP 모델은 OSI 모델보다 간단한 4계층 모델입니다.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TCP와 IP를 기반으로 합니다.
계층이름역할
4 응용 계층 (Application)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3 전송 계층 (Transport)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담당 (예: TCP, UDP)
2 인터넷 계층 (Internet) 데이터의 라우팅 및 주소 지정 (예: IP, ICMP)
1 링크 계층 (Link) 실제 네트워크 전송 (예: Ethernet, Wi-Fi)

4. 네트워크 장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장치들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라우팅하거나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1. 라우터 (Router)

  • 기능: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선택합니다.
  • 용도: LAN과 WAN을 연결하거나,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합니다.

2. 스위치 (Switch)

  • 기능: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들 간의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LAN 내에서 장치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합니다.
  • 용도: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충돌을 최소화합니다.

3. 허브 (Hub)

  • 기능: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허브는 데이터를 받은 모든 장치로 전달하며, 이는 불필요한 트래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용도: 작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지만, 효율성 면에서는 스위치보다 떨어집니다.

4. 방화벽 (Firewall)

  • 기능: 네트워크의 보안을 담당하는 장치로,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합니다.
  • 용도: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합니다.

5. IP 주소

  •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숫자입니다.
    • IPv4: 32비트 주소, 192.168.0.1과 같은 형식.
    • IPv6: 128비트 주소,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은 형식.
  •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호스트 주소로 나뉩니다. 네트워크 주소는 네트워크 자체를 식별하고, 호스트 주소는 네트워크 내 장치를 식별합니다.

6. 네트워크 프로토콜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입니다. TCP/IP, HTTP, FTP, DNS 등이 대표적인 프로토콜입니다.
    • HTTP: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정의합니다.
    • TCP/IP: 네트워크 장비들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 FTP: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7. 데이터 전송 방식

  • 단방향 전송 (Unicast):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간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브로드캐스트 전송 (Broadcast):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멀티캐스트 전송 (Multicast): 특정 그룹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S  (0) 2021.07.23